본문 바로가기
직장에서의 관계설정

MZ세대의 조직내 문제점과 원인

by 포도장이 2023. 4. 10.
반응형

MZ세대란 1981년부터 1996년까지 출생한 세대로, 현재 사회에서 근로자, 대학생, 청년 등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세대는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정보나 콘텐츠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 MZ세대는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MZ세대로 구성된 팀원의 모습

 

MZ세대-여성으로-구성된-팀원-사진
MZ세대 여성으로 구성된 팀원 사진

 

MZ세대의 조직 내 문제점과 원인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젊은 직원들의 높은 퇴사율이 첫 번째 문제로 인식되었고, 개인적인 성향에서 오는 팀워크 악화가 두 번째 큰 문제로 꼽혔으며, 세 번째는 사내 스트레스 조성이 꼽혔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인사 담당자들로 하여금 많은 어려움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MZ세대의 문제점들은 특히 기성세대와의 갈등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두 집단의 성향과 문화 자체가 너무 많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지나치게 워라벨을 중요시하는 MZ세대들의 문화도 이들의 이질감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입니다. 직장에서 근무 이후에 MZ세대들은 자기 발전과 계발을 위해서 시간을 많이 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미리 인지 한 상태에서 리더십 포지션에서 팀을 리딩하는 리더들이 여러 방안을 만드는 것은 이러한 이질감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MZ세대들이 이런 문제점들을 갖게 된 배경과 원인에 대해서 좀 더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MZ세대의 문제점에 대한 배경과 원인 

 

 

 

첫째로, MZ세대는 불안정한 경제적 상황에서 성장했습니다. 금융위기와 불황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서 성장하면서, 취업 난제와 높은 대출 부담 등의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가 더욱 악화되어 MZ세대의 취업과 경제적 안정에 대한 걱정이 커졌습니다.

 

둘째로, MZ세대는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민감도가 높지만 대처 능력이 부족합니다. 이들은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대처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불안감과 불안정한 상태에서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셋째로, MZ세대는 디지털 중독 문제가 심각합니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자기 관리 능력이 부족해져 집중력, 휴식, 취침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넷째로, MZ세대는 대인관계에서 불안정한 면이 있습니다. 온라인에서는 소통이 쉽고 편리하지만, 현실에서는 대인관계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이 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다수의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어렵고, 사회적인 대인관계 불안감이 증가하는 것이 MZ세대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정서적인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고독감과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섯째로, MZ세대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 부족 문제가 있습니다. 환경문제와 사회문제 등에 대한 인식이 낮아,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합니다. 이로 인해 앞으로 인류가 직면할 지속 가능성 문제에 대한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MZ세대는 과도한 정보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정확한 정보와 허위 정보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SNS 등을 통해 쉽게 퍼지는 믿음직하지 않은 정보에 노출되어 건강에 해를 입을 가능성도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MZ세대의 문제점은 다양한 측면에서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적극적인 대처와 적절한 교육,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디지털 중독 문제 등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개인의 자기 관리와 정책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입니다.

 

우울증 환자와 가족 그리고 환자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