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울증 (양극성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는, 자신이 조울증 (양극성 장애) 환자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부인한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서 주변에 '자신은 괜찮다'는 이야기를 계속하여 동정심을 유발하려 하지만, 그들의 앞뒤가 맞지 않는 언행에 주변사람들은 더욱 놀라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하나 둘씩 떠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건복지부 조울증 자가진단 바로가기
조울증 자가진단
따라서 이들을 병원에 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변 가족과 지인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만, 먼저 환자 자신을,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지와 이해를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위하여 보건복지부 국립나주병원의 조울증 및 양극성 장애 자가진단 테스트 링크를 준비하였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보건복지부 조울증 자가진단 바로가기
국립나주병원
(정신건강 증진, 국민복지 실현, 정신질환자 재활 및 사회복귀 지원, 정신건강 취약계층 맞춤형 서비스, 정신건강 교육 및 연구성과 확산), 국립나주병원 (Naju National Hospital.)
www.najumh.go.kr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될 글**
반응형
'가정에서의 관계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년기 우울증 증상 (0) | 2024.02.07 |
---|---|
갱년기와 우울증 사이의 연관성 (0) | 2024.02.07 |
조울증 여성의 특징 (0) | 2024.01.22 |
조울증 환자의 특징과 이해 (0) | 2024.01.19 |
우울증 환자의 특징과 이해 (0) | 2024.01.17 |
댓글